요추관협착증은 대표적인 퇴행성 질환으로 신경관과 신경근이 압박되어 요통 및 하지 방사통을 일으킵니다.
보존적인 약물치료나 물리치료로 호전이 되지 않고 견딜 수 없는 신경성간헐적파행증 (오래 걷거나 서있으면 양하지로 심한 압박증상이 생겨서 힘이들어 앉아 있거나 쪼그려 앉아 있으면 호전되는 증상) 및 신경학적 소견을 가지고 있거나 생활양식의 악화가 동반된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합니다.
고식적 수술법은 이렇습니다. : 양측 척추주변 근육을 모두 제거해내고, 좌우 척추 후궁을 모두 절제하여 수술
- 수술로 인한 출혈이 많고 수술 후 척추주변 근육 약화가 필연적으로 동반됨 - 드물게 일부에서 광범위한 양측 척추 후궁 및 후관절을 제거함으로써 척추 불안정성이 야기됨 - 수술 시간이 오래걸리고 수술 후 통증도 심함
ULBD 후관절 보존 편측척추후궁절제술 후 양측신경감압술 (Unilateral Laminectomy and Bilateral Decompression) : 한쪽 척추 주변 근육만 박리한 후, 한쪽 척추 후궁을 절제함 - 미세현미경 시야에서 양측 척수신경이 나가는 신경공 및 척추관을 감압시킴 - 출혈이 적고 수술 시간이 1 척추 분절 수술에 1시간 내외로 짧음 - 척추주변 근육의 손상이 적음 - 수술 후 통증이 적고, 수술 후 빠른 보행 및 빠른 일상생활 복귀가 가능함
ULBD
미세현미경레이저 디스크수술
인공디스크치환술
척추고정유합술
경피적척추성형술
경추 후궁성형술
척추내시경레이저감압술
경피적 내시경 요추 추간판 절제술
미세현미경레이저 디스크수술
미세현미경적 디스크수핵제거술
최대 12배까지 확대가능한 미세현미경을 이용하여 피부절개 및 척추후궁절제 범위를 최소화 하여 탈출된 디스크수핵을 제거하는 수술입니다.
피부절개는 보통 1척추분절 수술에 2~3cm 미만을 시행하게 되며, 수술 시간은 1시간 내외가 소요됩니다.
특수 미세현미경을 사용하여 수술시야를 극대화 함으로써 육안으로는 확인되지 않는 미세한 혈관이나 디스크조각 등을 식별할 수 있습니다.
수술은 척수마취 하에 진행하게 되며, 수술 후 1일 뒤부터 보행이 가능합니다.
수술 후 복근 및 척추 주변 근육 강화운동이 필수적입니다.
미세현미경적 디스크수핵제거술 시행하는 경우
MRI나 CT 등 영상 검사로 디스크수핵 탈출증이 확인된 분들 중 보존적 요법으로 경감되지 않는 요통이나 하지방사통을 보이거나 신경학적 이상소견을 보이는 분
내시경적 디스크수핵제거술이 불가능한 경우 - 골극이나 석회화된 단단한 디스크로 변성되어 신경을 압박하는 경우 - 디스크파열로 탈출한 수핵이 위, 아래로 이동한 경우 - 2분절 이상의 디스크수핵탈출증이 있는 경우 - 척추관협착증을 동반한 경우
ULBD
미세현미경레이저 디스크수술
인공디스크치환술
척추고정유합술
경피적척추성형술
경추 후궁성형술
척추내시경레이저감압술
경피적 내시경 요추 추간판 절제술
인공디스크치환술
인공디스크치환술
과거에는 디스크를 제거한 후 복원하는 방법이 없어 척추가 변형되거나 불안정해지지 않기 위해서 척추뼈들을 서로 붙여버리는 척추체 유합술을 시행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그로 인하여 척추 관절의 움직임에 제한이 오고, 인접 척추뼈에 긴장도가 증가하여 인접 척추분절에 퇴행성 변화를 가속시키는 결과를 낳고 있습니다.
최근 시행되고 있는 인공디스크 치환술은 척추 분절의 운동성을 유지시키고, 이로 하여금 인접 분절의 퇴행성 변화를 막으며, 디스크의 높이와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수술은 전신마취 하에 진행되며 수술 후 5~7일 정도의 입원기간을 요합니다.
인공디스크 치환술이 아닌 척추체 유합술을 시행하는 경우
경추측만증이나 후궁절제술 후 후만증이 발생한 경우
후종인대골화증
강직성척수염이나 류마티스 관절염
후방 골극이 심하여 연결되거나 신경공을 막은 경우
정상 디스크 높이와 비교해 50% 이상 높이가 감소된 경우
골다공증이나 대사성 골질환자의 경우
주의사항 및 후유증
드물게 수술부위에 출혈이 고여 심할 때는 출혈을 제거해 주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일부 환자에 한해 수술 부위에 염증이 생기거나 과도한 덧살이 자라나 통증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인공디스크의 고정이 약해지거나 주위 골흡수가 생기면 재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ULBD
미세현미경레이저 디스크수술
인공디스크치환술
척추고정유합술
경피적척추성형술
경추 후궁성형술
척추내시경레이저감압술
경피적 내시경 요추 추간판 절제술
척추고정유합술
척추뼈는 척추체, 척추경, 후궁, 위/아래 척추관절돌기, 횡돌기, 극돌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척추체와 척추경, 후궁으로 이루어진 척추관 안으로 척수신경이 지나가고, 위/아래 척추뼈의 관절돌기들이 만나 신경관을 구성합니다. 각각의 척추체 사이에 추간판이라고도 하는 디스크가 놓여 있는 구조입니다.
척추 유합술은 척추체 사이의 디스크를 완전히 제거한 후 척추체간 유합기구를 이용하여 척추체를 하나로 유합하고, 척추경을 통해 스크류를 삽입하는 수술을 말합니다.
척추 유합술의 흔한 수술방법으로 후방 추체간 유합술(PLIF)과 신경공 경유 요추 추체간 유합술(TLIF)이 있으며, 환자에 따라 수술방법을 결정하게 됩니다.
척추 유합술은 전신마취를 요하며 입원기간은 7~10일 정도 필요합니다.
척추 유합술 후 척추체가 완전히 유합될 때까지 보조기 착용이 필요하며, 복근 및 척추 주변근육의 강화운동이 수술 후 필요합니다.
척추 유합술을 시행하는 경우
분절성 요추 불안정성을 보이는 척추전방전위증
퇴행성 추간판 질환으로 척추관 협착, 추간판 공간붕괴, 측면 불안정증을 보이는 경우
척추 측만증
재발성 추간판 탈출과 연관된 기계적 요통
거대 추간판 중심성 탈출
후궁절제술 후 척추 후만 등 요추 변형
외상성 방출성 척추체 골절
ULBD
미세현미경레이저 디스크수술
인공디스크치환술
척추고정유합술
경피적척추성형술
경추 후궁성형술
척추내시경레이저감압술
경피적 내시경 요추 추간판 절제술
경피적척추성형술
경피적 척추 성형술은 척추체 내부에 골 시멘트를 주입하는 시술법 입니다. 이것은 원래 척추체에 생긴 혈관종의 치료나 종양 침범으로 인한 골절 및 통증을 치료하고자 시작된 것으로 현재는 골다공증성 압박 골절의 치료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습니다.
경피적 척추 성형술을 시행하는 경우
골다공증으로 인한 척추체 압박골절로서 2주 이상의 적극적인 보존적 치료에도 불구하고 심한 요통이 지속되는 경우
단, 폐렴, 혈전성 정맥염, 약물로 조절되지 않는 당뇨병, 투석을 받는 만성 신부전증, 만 80세 이상의 환자에서는 2주간의 보존적 치료 없이 바로 시행
경피적 척추 성형술의 과정
1. 복와위 자세에서 국소마취를 시행 (※ 복와위 : 사지를 구부려서 복부를 땅에 붙이고 목을 세운 자세)
2. X-ray 투시경 하에 척추 천자침을 척추체로 삽입
3. 골시멘트를 주사
4. 수술 시간은 30분 내외 소요, 수술 후 보조기 착용 필수
ULBD
미세현미경레이저 디스크수술
인공디스크치환술
척추고정유합술
경피적척추성형술
경추 후궁성형술
척추내시경레이저감압술
경피적 내시경 요추 추간판 절제술
경추 후궁성형술
경추 후궁성형술이란 좁아진 경추 척추관을 넓혀주는 수술로써, 경추 후궁의 편측을 절개하여 척추관을 개방시켜 주고, 금속판과 작은 스크류로 이를 고정해 주는 수술을 말합니다.
경추 후궁성형술을 시행하는 경우
경추 척추관협착증을 보이는 환자에서 경추 척추관이 10mm 이하로 좁아지거나 MRI 상 척수신경에 이상소견을 보이는 경우, 신경학적 이상소견을 보이는 경추성 척수증의 경우
경추성 척수증 : 디스크나 골극, 골화되어 비후된 후종인대 등에 의해 심한 경추 척추관협착이 발생하여 중추신경인 척수신경을 압박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상하지의 이상감각이나 위치감각 저하, 하지부전마비 혹은 사지부전마비, 또한 자율신경계 장애로 인한 대소변과 성기능 장애까지 발생
수술의 대상이 되는 질환 : - 다발성 경추 척추관협착증을 유발하는 퇴행성 디스크질환 - 다발성 경추 척추관협착증을 유발하는 후종인대골화증 - 경추 황색인대의 비후나 골화증으로 인한 경추 척추관협착증 - 특히, 증상이 없더라도 MRI 상 척수신경내 이상소견이 보이거나, 경추 척추관 직경이 11mm 이하인 경우에는 예방적 수술의 적응이 됩니다.
수술은 전신마취 하에 진행되며, 7~10일 정도의 입원기간이 필요합니다.
수술 후 목보조기를 착용하게 되며, 환자의 상태나 수술범위에 따라 3주~3개월 정도 유지해야 합니다.
수술 후 4~6주간 목을 심하게 젖히거나 비틀기는 삼가하여야 하며, 무거운 짐을 들거나 장시간의 운전은 피해야합니다.
허리에 약 5mm 정도의 두개 구멍을 통해, 하나에는 고화질의 내시경을 삽입하여 병변을 보면서 다른 하나에는 수술 기구를 삽입하여 치료하는 척추내시경 수술 입니다.
척추내시경 레이저감압술 특징
근육 손상이 없어 통증이 적고 넓은 시야로 디스크를 치료하며 다양한 부위에 적용이 가능
절개가 아닌 작은 구멍 두개만으로 수술이 이뤄지는 만큼 출혈이 거의 없고, 수술 후 흉터도 작아 회복 속도가 빠르며 입원기간도 짧은 장점이 있습니다.
ULBD
미세현미경레이저 디스크수술
인공디스크치환술
척추고정유합술
경피적척추성형술
경추 후궁성형술
척추내시경레이저감압술
경피적 내시경 요추 추간판 절제술
경피적 내시경 요추 추간판 절제술(PELD) : 내시경 레이저 디스크 제거술(최소침습 척추 치료)
파열된 디스크를 척추 내시경과 레이저로 치료하게 되며 치료 부위 외의 구조물을 보존합니다. 국소마취 후 옆구리 부분을 통해 카테터를 삽입하여 내시경으로 병변을 확인, 통증을 유발하는 디스크 조직 일부를 제거하고 레이저로 부어있는 디스크의 부피를 줄이며 조직 제거 후 주변을 소작해 줍니다.
카테터의 삽입을 위해 미세하게 절개했던 피부를 봉합하여 마치며 디스크를 둘러 싸고 있는 막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치료한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치료후 디스크 자리가 서서히 아물고 둘러싸고 있는 디스크 인대가 회복하는 과정에 도움이 됩니다.
통상 디스크 시술/수술 후 재발률을 3-5% 로 평가합니다. 재발이란 통증에만 국한하여 말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디스크의 재탈출, 재돌출을 의미하는 것으로 디스크를 둘러싸고 있는 인대를 보존하여 수술하면 재발률을 낮출 수 있으며 디스크가 아물어 회복되는 과정을 돕게 됩니다.
국소마취 후 시행하기 때문에 고령의 환자나 당뇨, 고혈압 등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도 부담이 없고, 시술 당일이나 다음날 바로 일상생활 복귀가 가능합니다